티스토리 뷰
목차
안녕하세요 여러분, 7월장마가 주춤하고 있는 그런 싱그런 하늘이 보이는 7월말 아침입니다.
오늘은 여러분의 삶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정말 중요한 정보를 들고 왔어요.
바로 2025년 기준중위소득에 대한 내용인데요!
요즘 정부의 다양한 복지혜택이나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기준이 바로 이 '기준중위소득'이라는 거, 알고 계셨나요?
이 기준이 올라가면 더 많은 분들이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는 만큼, 꼭 체크해야 하는 내용이에요.
오늘 포스팅에서는 2025년 기준중위소득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, 계산은 어떻게 하는지,
그리고 어떤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까지 아주 쉽게 설명드릴게요!
https://m.site.naver.com/1Nih2
2025년 중위소득 100%
📌 1. 기준중위소득이란?기준중위소득은 모든 가구의 소득을 순서대로 정렬했을 때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으로, 복지 정책의 기준으로 활용돼요. 평균보다 현실적인 기준이에요. 복지로 기
smart.veganbliss55.com
📌 기준중위소득이란 무엇인가요?
먼저 '기준중위소득'이라는 단어가 생소하신 분들도 계실 거예요.
쉽게 말하면, 우리나라 모든 가구를 소득 순서대로 줄 세웠을 때, *정확히 가운데(중간)*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말해요.
즉, 중위소득은 평균과는 다르게 소수의 고소득자에 의해 왜곡되지 않고, 대다수의 현실적인 소득
수준을 더 잘 반영하는 기준이에요.
2025년에는 기준중위소득이 무려 6.42%나 인상됐어요.
예를 들어, 4인 가구 기준으로 작년보다 약 37만 원이 오른 6,097,773원이 바로 2025년 기준중위소득 100%예요.
이 수치가 높아졌다는 건 곧 더 많은 분들이 복지 혜택 대상이 될 수 있다는 뜻이죠!
📌 가구원 수별 기준중위소득 확인 & 계산법
기준중위소득은 가구원 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. 예를 들어,
- 1인 가구: 2,392,013원
- 2인 가구: 3,932,658원
- 3인 가구: 5,025,353원
- 4인 가구: 6,097,773원
- 5인 이상은 인원 추가 시마다 923,623원씩 증가합니다.
복지혜택은 이 수치에서 몇 퍼센트에 해당하느냐에 따라 달라지죠.
계산 방법은 정말 간단해요! 예를 들어 1인 가구 기준중위소득의 60%를 계산하고 싶다면, 2,392,013 × 0.6 = 약 1,435,207원이 됩니다. 이 방식으로 본인 가구원 수에 맞게 직접 계산해 보실 수 있어요!
📌 어떤 복지혜택을 받을 수 있을까?
기준중위소득을 기준으로 받을 수 있는 복지혜택은 정말 다양해요. 특히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4대 급여는 많은 분들이 관심 가져야 할 핵심 포인트죠!
- 생계급여: 기준중위소득 32% 이하 (4인 가구 기준 약 195만 원 이하)
- 의료급여: 기준중위소득 40% 이하 (약 243만 원 이하)
- 주거급여: 기준중위소득 48% 이하 (약 292만 원 이하)
- 교육급여: 기준중위소득 50% 이하 (약 304만 원 이하)
이 외에도 청년월세 지원, 청년도약계좌, 취업성공패키지 등 대부분의 국가 복지 제도가 기준중위소득을 바탕으로
지원 대상을 선별해요.
올해는 기준이 올라간 만큼 예전에 아슬아슬하게 탈락하셨던 분들도 다시 한 번 도전해보실 수 있는 기회예요!
특히 주목할 점은 복지 혜택이 단일 항목이 아니라 중복 수령이 가능하다는 점이에요.
예를 들어 생계급여와 의료급여를 동시에 받을 수도 있고, 청년층은 주거 지원과 계좌 혜택을 함께 받을 수 있어요.
기준중위소득 체크만 잘하면, 받을 수 있는 혜택이 꽤 다양하고 실질적인 도움이 된답니다.
📌 기준중위소득 확인은 왜 중요할까?
요즘 같이 물가가 계속 오르고 있는 시기에는 정부 지원금 하나하나가 체감적으로 크게 다가오잖아요.
실제로 이번 중위소득 인상으로 인해 약 7만 명 이상이 새롭게 기초생활수급자로 포함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요.
그만큼 복지 제도의 수혜 대상이 넓어졌다는 뜻이에요.
2025년엔 생계급여만 해도 작년보다 약 12만 원 더 많은 지원이 가능해졌고, 다른 급여들도 비슷하게 인상됐어요.
제대로 확인만 해도 한 달 생활비에서 꽤 큰 부분을 덜 수 있는 셈이죠!
📊 2025년 기준중위소득 표 (100% 기준)
(단위: 원 / 월소득 기준)
가구원 수 기준중위소득 100%
💡 참고사항:
8인 이상부터는 1인 증가 시마다 923,623원씩 추가됩니다.
예: 8인 가구 9,912,051원 + 923,623원 = 9인 가구 기준중위소득 10,835,674원
📌 소득구간 퍼센트 계산 예시
해당 퍼센트 소득은 아래처럼 계산하면 됩니다.
예) 3인 가구 기준중위소득 60%
→ 5,025,353 × 0.6 = 3,015,211원
복지혜택은 100% 금액이 아니라, 32%, 40%, 50%, 60%, 100%, 150% 등 다양한 구간 기준으로 나뉘기 때문에,
필요한 퍼센트만 곱해서 간단히 계산하시면 돼요!
오늘은 2025년 기준중위소득의 의미부터, 각 가구원 수별 금액, 그리고 계산법과 복지혜택까지 꼼꼼하게 정리해봤어요.
이번 포스팅 보시고 내가 해당되는 혜택은 없는지 꼭 한번 체크해보시길 바라요.